아티스트가 감에 의존하지 않고
악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인사이트 제공

악보 이용자 트렌드 및 악보 제작 요청 데이터 제공

악보 이용자 트렌드 및

악보 제작 요청 데이터 제공

May 2022

아티스트가 감에 의존하지 않고
악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인사이트 제공

https://www.mymusicsheet.com/artist-center/dashboard
/artist-center/dashboard

사용자의 어떤 문제를 발견했나요?

사용자의 어떤
문제를 발견했나요?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와 함께 악보 판매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설문 조사 하였습니다.


365명의 응답자 중 158명이 '어떤 악보를 제작하면 좋을지 모르겠다.' 라고 답변하였습니다. 더욱 면밀한 조사를 위해 해당 주제와 관련하여 추가 설문을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를 파악하였습니다.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와 함께 악보 판매에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설문 조사 하였습니다.


365명의 응답자 중 158명이 '어떤 악보를 제작하면 좋을지 모르겠다.' 라고 답변하였습니다. 더욱 면밀한 조사를 위해 해당 주제와 관련하여 추가 설문을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를 파악하였습니다.

DEFINE PROBLEM 01

"악보 이용자들이 어떠한 난이도의 악보를 원하는지 모르겠어요."

플랫폼에는 38개의 악기를 연주하는 3,460명의 아티스트가 있었고, 각 악기의 연주자인 아티스트는 악보 이용자의 연주 능숙도를 가늠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피아노 아티스트 S님은 연주곡 당 세 개의 난이도 악보를 제작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연주곡 당 악보 제작 시간이 길어져 다양한 곡의 악보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플랫폼에는 38개의 악기를 연주하는 3,460명의 아티스트가 있었고, 각 악기의 연주자인 아티스트는 악보 이용자의 연주 능숙도를 가늠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피아노 아티스트 S님은 연주곡 당 세 개의 난이도 악보를 제작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연주곡 당 악보 제작 시간이 길어져 다양한 곡의 악보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DEFINE PROBLEM 02

"어떠한 연주곡의 악보가 인기가 많은지 모르겠어요."

연주 음악은 대중 음악과는 다른 트렌드 양상을 띠고 있었습니다. 때문에 '빌보드', '유튜브' 와 같은 음원 트렌드 만으로는 618,000명의 플랫폼 악보 이용자들이 어떤 연주곡을 좋아하는지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연주 음악은 대중 음악과는 다른 트렌드 양상을 띠고 있었습니다. 때문에 '빌보드', '유튜브' 와 같은 음원 트렌드 만으로는 618,000명의 플랫폼 악보 이용자들이 어떤 연주곡을 좋아하는지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DEFINE PROBLEM 03

"나의 팬들이 어떤 연주곡의 악보를 원하는지 알고 싶어요."

그뿐만 아니라 아티스트는 이미 자신에게 팬덤이 형성된 악보 이용자의 선호를 알기 원했습니다. 기존 '유튜브' 연주 영상의 코멘트만으로는 얼마나 많은 팬이 해당 악보를 원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웠으며, 이를 기다렸던 팬들에게 악보 제작 소식을 전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아티스트는 이미 자신에게 팬덤이 형성된 악보 이용자의 선호를 알기 원했습니다. 기존 '유튜브' 연주 영상의 코멘트만으로는 얼마나 많은 팬이 해당 악보를 원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웠으며, 이를 기다렸던 팬들에게 악보 제작 소식을 전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DEFINE PROBLEM 04

"어떠한 채널을 통해 악보를 홍보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어요."

"어떤 악보를 제작하면 좋을지 모르겠다." 다음으로 "어떠한 채널로 악보를 홍보해야 할 지 모르겠다."는 응답의 비중이 제일 높았습니다. 플랫폼의 아티스트 중 대다수가 1인 크리에이터이었기 때문에 악보 홍보에도 관심이 많았던 것입니다.


위 네 가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아티스트가 감이 아닌 '데이터'를 통해 악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습니다.

"어떤 악보를 제작하면 좋을지 모르겠다." 다음으로 "어떠한 채널로 악보를 홍보해야 할 지 모르겠다."는 응답의 비중이 제일 높았습니다. 플랫폼의 아티스트 중 대다수가 1인 크리에이터이었기 때문에 악보 홍보에도 관심이 많았던 것입니다.


위 네 가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아티스트가 감이 아닌 '데이터'를 통해 악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습니다.

그것을 어떻게 해결했나요?

그것을 어떻게 해결했나요?

"악보 이용자들이 어떠한 난이도의 악보를 원하는지 모르겠어요."

"악보 이용자들이 어떠한 난이도의 악보를 원하는지 모르겠어요."

악보별 난이도는 오래전부터 관리되었던 데이터로 아티스트가 다섯 단계의 난이도 중 선택하면 악보 판매 정보에 표기되고 있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난이도별 악보 구매 분포표'를 제공하였습니다. 아티스트가 자신이 연주하는 악기의 이용자만 분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악기 필터'를 제공하였습니다.

아티스트 피드백

"이전에는 곡마다 세 개 난이도의 악보를 제작하였습니다. 특히 화려한 곡을 쉬운 난이도의 악보로 제작하는 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았습니다. 그러나 차트에서 쉬운 악보의 판매 비중이 적은 것을 확인하면서, 곡에 맞지 않은 쉬운 악보를 애써서 만들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 대신 다양한 곡의 악보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고요···"

- 피아노 아티스트 S님

"저의 화려한 연주를 팬들이 좋아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전문가 난이도로 악보를 제작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전문가 난이도의 악보가 판매가 저조한 것을 확인하면서 난이도를 하향 조정하며 제작하고 있습니다."

- 일렉트릭 기타 아티스트 K님

"어떠한 연주곡의 악보가 인기 있는지 모르겠어요."

"어떠한 연주곡의 악보가 인기 있는지 모르겠어요."

분기별 저작권 협회 정산을 위해 수집되었던 '저작권 코드'를 활용하여 연주곡별 악보 판매 순위 데이터를 집계할 수 있었습니다. 아티스트는 기간별 인기 연주곡 순위를 조회할 수 있었으며, 연주곡 별로 판매되고 있는 악보 수를 통해 더욱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티스트 피드백

"악보 차트로는 어떤 곡이 인기가 많은지 파악하기 어려웠는데, 연주곡을 기준으로 판매 순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좋아요."

- 우크렐레 아티스트 U님

"정산 수익 조회 차 아티스트 센터에 자주 들어오는 데 그새 구경거리가 풍부해졌더라구요. 무엇보다 인기 연주 곡별로 몇 개의 악보가 제작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좋습니다. 악보 제작뿐만 아니라 제 유튜브 채널의 연주 영상 제작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어쿠스틱 기타 아티스트 C님

"나의 팬들이 어떤 연주곡의 악보를 원하는지 알고 싶어요."

"나의 팬들이 어떤 연주곡의 악보를 원하는지 알고 싶어요."

'유튜브' 연주 영상 코멘트를 통해 악보 신청을 받는 것에는 두 가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첫째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해당 악보를 원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웠고, 둘째로는 해당 악보를 기다렸던 팬들에게 제작 소식을 전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유튜브' 영상의 사용자는 악보 이용을 넘어 보다 다양한 맥락 안에 있었기 때문에 악보 이용자 세그먼트를 위한 별도의 악보 신청 관리 채널이 필요했습니다.

위 이미지처럼 악보 이용자는 연주곡을 검색 및 선택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에게 악보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아티스트 페이지에서 악보 신청 목록을 보며 '투표'할 수 있기 때문에 아티스트는 많은 팬이 원하는 악보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티스트가 자신에게 신청된 악보의 제작 상태를 위와 같이 변경하면, 악보를 신청 및 투표한 팬들에게 알림으로 악보 제작 소식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어떠한 채널을 통해 악보를 홍보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어요."

"어떠한 채널을 통해 악보를 홍보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어요."

악보 이용자가 어떠한 채널을 통해 악보 페이지에 들어오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채널별 유입 분포표'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1인 크리에이터인 아티스트가 어떤 채널이 악보 판매 홍보에 효과적인지 가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습니다.


차트를 구성하던 중 '유튜브'로 유입된 사용자의 구매 전환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튜브 연주 영상'에 '악보 링크'가 없거나 잘못 첨부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티스트가 '유튜브' 채널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악보 업로드 시 첨부했던 '유튜브 영상' 중 '악보 링크'가 걸려 있지 않은 '유튜브 페이지'를 추출하여 보여주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서비스에 첨부된 '유튜브 영상' 중 '악보 링크'가 걸려 있는 유튜브 페이지의 비중을 32%에서 68%로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하시나요?

인사이트 데이터는 아티스트가 감이 아닌 '데이터'를 통해 악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공하였습니다. 그 때문에 위 네 가지 사례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와 소통하며 인사이트를 추가 및 개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