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y 2022
DEFINE PROBLEM 01
"악보 이용자들이 어떠한 난이도의 악보를 원하는지 모르겠어요."
DEFINE PROBLEM 02
"어떠한 연주곡의 악보가 인기가 많은지 모르겠어요."
DEFINE PROBLEM 03
"나의 팬들이 어떤 연주곡의 악보를 원하는지 알고 싶어요."
DEFINE PROBLEM 04
"어떠한 채널을 통해 악보를 홍보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어요."
악보별 난이도는 오래전부터 관리되었던 데이터로 아티스트가 다섯 단계의 난이도 중 선택하면 악보 판매 정보에 표기되고 있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난이도별 악보 구매 분포표'를 제공하였습니다. 아티스트가 자신이 연주하는 악기의 이용자만 분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악기 필터'를 제공하였습니다.
아티스트 피드백
"이전에는 곡마다 세 개 난이도의 악보를 제작하였습니다. 특히 화려한 곡을 쉬운 난이도의 악보로 제작하는 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았습니다. 그러나 차트에서 쉬운 악보의 판매 비중이 적은 것을 확인하면서, 곡에 맞지 않은 쉬운 악보를 애써서 만들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 대신 다양한 곡의 악보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고요···"
- 피아노 아티스트 S님
"저의 화려한 연주를 팬들이 좋아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전문가 난이도로 악보를 제작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전문가 난이도의 악보가 판매가 저조한 것을 확인하면서 난이도를 하향 조정하며 제작하고 있습니다."
- 일렉트릭 기타 아티스트 K님
분기별 저작권 협회 정산을 위해 수집되었던 '저작권 코드'를 활용하여 연주곡별 악보 판매 순위 데이터를 집계할 수 있었습니다. 아티스트는 기간별 인기 연주곡 순위를 조회할 수 있었으며, 연주곡 별로 판매되고 있는 악보 수를 통해 더욱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티스트 피드백
"악보 차트로는 어떤 곡이 인기가 많은지 파악하기 어려웠는데, 연주곡을 기준으로 판매 순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좋아요."
- 우크렐레 아티스트 U님
"정산 수익 조회 차 아티스트 센터에 자주 들어오는 데 그새 구경거리가 풍부해졌더라구요. 무엇보다 인기 연주 곡별로 몇 개의 악보가 제작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좋습니다. 악보 제작뿐만 아니라 제 유튜브 채널의 연주 영상 제작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어쿠스틱 기타 아티스트 C님
'유튜브' 연주 영상 코멘트를 통해 악보 신청을 받는 것에는 두 가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첫째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해당 악보를 원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웠고, 둘째로는 해당 악보를 기다렸던 팬들에게 제작 소식을 전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유튜브' 영상의 사용자는 악보 이용을 넘어 보다 다양한 맥락 안에 있었기 때문에 악보 이용자 세그먼트를 위한 별도의 악보 신청 관리 채널이 필요했습니다.
위 이미지처럼 악보 이용자는 연주곡을 검색 및 선택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에게 악보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아티스트 페이지에서 악보 신청 목록을 보며 '투표'할 수 있기 때문에 아티스트는 많은 팬이 원하는 악보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티스트가 자신에게 신청된 악보의 제작 상태를 위와 같이 변경하면, 악보를 신청 및 투표한 팬들에게 알림으로 악보 제작 소식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악보 이용자가 어떠한 채널을 통해 악보 페이지에 들어오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채널별 유입 분포표'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1인 크리에이터인 아티스트가 어떤 채널이 악보 판매 홍보에 효과적인지 가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습니다.
차트를 구성하던 중 '유튜브'로 유입된 사용자의 구매 전환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튜브 연주 영상'에 '악보 링크'가 없거나 잘못 첨부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티스트가 '유튜브' 채널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악보 업로드 시 첨부했던 '유튜브 영상' 중 '악보 링크'가 걸려 있지 않은 '유튜브 페이지'를 추출하여 보여주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서비스에 첨부된 '유튜브 영상' 중 '악보 링크'가 걸려 있는 유튜브 페이지의 비중을 32%에서 68%로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인사이트 데이터는 아티스트가 감이 아닌 '데이터'를 통해 악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공하였습니다. 그 때문에 위 네 가지 사례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와 소통하며 인사이트를 추가 및 개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