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 드리븐 마인드셋으로
까다로운 수익 정산 방식을 개선

미션 드리븐 마인드셋으로 까다로운 수익 정산 방식을 개선

아티스트의 수익 정산 경험을 혁신하기 위해 다기능 팀을 이끌었습니다.

May 2022


사용자의 어떤 문제를 발견했나요?

사용자의 어떤
문제를 발견했나요?

"Here are a lot of music works on your site, so I have a question: Can I sell my notes on your site? This is very important for me. I'm from Ukraine, and now we don't have much income…."


출근 후 여느 때처럼 아티스트 문의를 읽던 중 '일자리'를 찾는다는 한 우크라이나 연주자의 이메일을 읽게 되었습니다. 어렵고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아티스트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고자 직접 소통하며 적극적으로 플랫폼 활동을 돕고자 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아티스트에게 제일 필요했던 지원은 판매 수익금을 즉시 받는 것이었습니다. 수동으로 정산해 드린 후보다 면밀한 문제 파악을 위해 수익금 정산 관련 데이터를 조회해 보았습니다.


플랫폼에는 우크라이나 아티스트처럼 익월 판매 수익금이 30달러(USD)*를 넘지 않아 약 21,500달러(USD)가 아직 정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습니다. 또한 한 달 판매 수익금이 30달러(USD)를 넘었지만 잘못된 '정산 정보'로 인해 약 520달러(USD)가 아직 지급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조건을 충족했더라도 아티스트는 수익금을 받기까지 최소 30일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최소 정산 금액


정산 회계 담당자와 이야기를 나누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점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DEFINE PROBLEM 01

아티스트는 익월 판매 수익금이 30달러(USD) 이상이어야 만 수익금을 받을 수 있다.

'최소 정산 금액'이 정산 수수료인 0.5달러(USD)*보다 높게 정해진 이유는 다름 아닌 정산 담당자의 업무 부담 때문이었습니다. 두 명의 정산 담당자가 한 달 동안 수많은 회계 업무를 감당하며 3,460명의 아티스트에게 수익금을 지급하기에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이처럼 대부분의 정산 업무가 수동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최소 정산 금액'을 높여 정산받을 아티스트를 줄일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Paypal me 기준

DEFINE PROBLEM 02

아티스트는 한 달간의 수익금을 받기까지 최소 30일의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한 달간의 누적 수익이 30달러(USD)를 넘은 경우 익월 마지막 날에 수익금이 '확정'되었으며 그로부터 최소 30일이 지나서야 수익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 이번 달 수익금을 다음다음 달에 받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DEFINE PROBLEM 03

정산받을 계좌를 등록한 후 확인까지 평균 10일을 기다려야 했다.

아티스트가 계좌* 또는 Paypal 계정을 입력하면 최초 수익금이 확정된 날로부터 약 10일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2명의 정산 담당자가 계좌 또는 계정이 유효한 지 수동으로 검증해야 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한국 계좌, 일본 계좌


수익금 정산과 관련한 위의 3가지 문제는 기술적·정책적 난제가 있더라도 반드시 풀어야만 했습니다. 'MyMusicSheet'의 미션은 전 세계의 연주자가 공연과 같은 오프라인 활동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악보 판매와 같은 온라인 활동을 통해 음악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또는 전쟁과 같이 위급한 상황 가운데 있는 아티스트에게 이와 같은 플랫폼의 책임과 역할은 더욱더 중요했습니다.

"Here are a lot of music works on your site, so I have a question: Can I sell my notes on your site? This is very important for me. I'm from Ukraine, and now we don't have much income…."


출근 후 여느 때처럼 아티스트 문의를 읽던 중 '일자리'를 찾는다는 한 우크라이나 연주자의 이메일을 읽게 되었습니다. 어렵고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아티스트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고자 직접 소통하며 적극적으로 플랫폼 활동을 돕고자 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아티스트에게 제일 필요했던 지원은 판매 수익금을 즉시 받는 것이었습니다. 수동으로 정산해 드린 후보다 면밀한 문제 파악을 위해 수익금 정산 관련 데이터를 조회해 보았습니다.


플랫폼에는 우크라이나 아티스트처럼 익월 판매 수익금이 30달러(USD)*를 넘지 않아 약 21,500달러(USD)가 아직 정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습니다. 또한 한 달 판매 수익금이 30달러(USD)를 넘었지만 잘못된 '정산 정보'로 인해 약 520달러(USD)가 아직 지급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조건을 충족했더라도 아티스트는 수익금을 받기까지 최소 30일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최소 정산 금액


정산 회계 담당자와 이야기를 나누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점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최소 정산 금액'이 정산 수수료인 0.5달러(USD)*보다 높게 정해진 이유는 다름 아닌 정산 담당자의 업무 부담 때문이었습니다. 두 명의 정산 담당자가 한 달 동안 수많은 회계 업무를 감당하며 3,460명의 아티스트에게 수익금을 지급하기에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이처럼 대부분의 정산 업무가 수동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최소 정산 금액'을 높여 정산받을 아티스트를 줄일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Paypal me 기준

한 달간의 누적 수익이 30달러(USD)를 넘은 경우 익월 마지막 날에 수익금이 '확정'되었으며 그로부터 최소 30일이 지나서야 수익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 이번 달 수익금을 다음다음 달에 받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아티스트가 계좌* 또는 Paypal 계정을 입력하면 최초 수익금이 확정된 날로부터 약 10일을 기다려야 했습니다. 2명의 정산 담당자가 계좌 또는 계정이 유효한 지 수동으로 검증해야 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한국 계좌, 일본 계좌


수익금 정산과 관련한 위의 3가지 문제는 기술적·정책적 난제가 있더라도 반드시 풀어야만 했습니다. 'MyMusicSheet'의 미션은 전 세계의 연주자가 공연과 같은 오프라인 활동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악보 판매와 같은 온라인 활동을 통해 음악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또는 전쟁과 같이 위급한 상황 가운데 있는 아티스트에게 이와 같은 플랫폼의 책임과 역할은 더욱더 중요했습니다.

그것을 어떻게 해결했나요?

그것을 어떻게 해결했나요?

기존 수익금 정산의 상당 부분이 담당자에 의해 수동으로 처리되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다양한 국가의 계좌 정보 확인 업무를 대신하며, 언제든지 '즉시' 정산이 가능한 정산 수단을 연동.

다양한 국가의 계좌 정보 확인 업무를 대신하며, 언제든지 '즉시' 정산이 가능한 정산 수단을 연동.

아티스트의 국가별로 계좌 정보 검사를 대체할 '정산 수단'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계좌 정보 확인에 대한 관리자의 업무를 부분적으로 자동화해 검사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가 정산받을 수 있는 국가를 확장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악보 최소 판매 가격*을 고려하여 한 건 이상이라도 판매되었을 때 수익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악보 최소 판매가격: 2달러(USD)

이름

즉시 정산

유효성 검사

최소 정산 금액

페이플(Payple)

이름

즉시

정산

유효성

검사

1,000원 (KRW)

최소

정산 금액

페이플

(Payple)

1,000원

(KRW)

Stripe

Stripe

0.5달러 (USD)

0.5달러

(USD)

Payoneer

Payoneer

-

-

Paypal me

Paypal me

☑️

0.5달러 (USD)

0.5달러

(USD)

Paypal Connect

Paypal

Connect

0.5달러 (USD)

0.5달러

(USD)

+150개 국가를 포괄하면서도 조건에 부합했던 'Payoneer'와 'Paypal Connect'는 서비스의 월 단위 정산 금액이 기준 미달하여 계약할 수 없었습니다. 그 때문에 아래 표와 같이 80개 국가를 지원하는 Stripe와 부분적인 수동 작업을 필요로 했던 Paypal me를 먼저 연동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로써 아래와 같이 현재 활동 중인 모든 국가의 아티스트가 수익금을 '즉시' 받을 수 있는 정산 수단을 연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티스트 국가

아티스트

국가

아티스트 분포

아티스트

분포

정산 수단

정산 수단

한국

32%

페이플

페이플

미국, 호주 외 국가

미국, 일본

외 국가

51%

Stripe

Stripe

대만 외 국가

중국 외 국가

17%

Paypal me

Paypal me

아래와 같이 '거주 국가'를 선택하면 언제든지 수익금을 '즉시' 받을 수 있는 정산 수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국가의 정산 수단은 입력과 동시에 유효성 검사가 이뤄지며 등록이 완료되면 수익금을 기다림 없이 '즉시' 받을 수 있습니다.

아티스트가 악보 판매 수익금을 기다림 없이 '원터치'로 받을 수 있게 개선

기존의 정산 과정은 담당자의 업무 패턴을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아티스트가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특히 '정산 주기'는 수익금을 받기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리게 하였으며 정보 전달의 많은 혼선을 빚었습니다.

상태

설명

예정

정산 금액이 확정되기 이전의 상태로 한 달 동안의 판매 수익이 누적됨.

지급 확정

한 달간의 판매 수익금이 확정된 상태로 매달 마지막 날 30달러(최소 정산 금액)을 넘은 아티스트만 '예정'에서 '지급 확정'으로 상태 변경된다.


정산 담당자가 '30일' 동안 회계 업무를 준비하는 기간으로 한 달간의 아티스트 수익금이 확정된 상태이지만, 아티스트에게 수익금이 아직 지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 전 달 판매 수익이 30달러(최소 정산 금액)를 넘지 못한 경우 정산 금액이 이월된다.

한 달간의 판매 수익금이 확정된 상태로 매달 마지막 날 30달러(최소 정산 금액)을 넘은 아티스트만 '예정'에서 '지급 확정'으로 상태 변경된다.


정산 담당자가 '30일' 동안 회계 업무를 준비하는 기간으로 한 달간의 아티스트 수익금이 확정된 상태이지만, 아티스트에게 수익금이 아직 지급되지 않은 상태이다.


* 전 달 판매 수익이 30달러(최소 정산 금액)를 넘지 못한 경우 정산 금액이 이월된다.

지급 완료

약 두달 전의 판매 수익금이 아티스트에게 '지급 완료'된 상태.


* 수익금이 30달러(최소 정산 금액)을 넘지 못해 오랜 기간 동안 수익금이 이월된 경우 누적된 수익금을 한 번에 받게 된다.

기존의 '정산 주기'는 위의 그림 또는 표와 같이 아티스트가 정산 과정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었으며 수익금을 받기까지 오랜 시간을 기다리게 했습니다. 하지만 개선 후 아래처럼 '정산 주기'에 상관없이 아티스트가 언제든지 수익금을 '원터치'로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개선은 정산 회계의 많은 부분을 자동화하면서 관리자의 업무 부담 때문에 높게 설정했던 '최소 정산 금액'을 30달러(USD)에서 최대 0.5달러(USD)*로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 계좌의 경우 1,000원

아티스트가 '최소 정산 금액'을 체감하지 않으며 수익금을 받을 수 있게 개선.

기존에는 한 달간의 판매 수익금이 30달러(USD)를 넘어야만 익월 정산 대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최소 정산 기준액'은 '정산 주기'와 마찬가지로 아티스트에게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습니다.

기존에는 한 달간의 판매 수익금이 30달러(USD)를 넘어야만 익월 정산 대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최소 정산 기준액'은 '정산 주기'와 마찬가지로 아티스트에게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습니다.



개선 후에도 '최소 정산 기준액'이 여전히 존재 했습니다. 하지만 '최소 정산 기준액'이 최대 1,000원(KRW)으로 악보 최소 판매가격*을 고려해 보았을 때 악보가 한 건이라도 판매되었다면 아티스트가 수익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악보 최소 판매가격: 2달러(USD)

아티스트가 악보 판매 수익금을 기다림 없이 '원터치'로 받을 수 있게 개선

아티스트가 '최소 정산 금액'을 체감하지 않으며 수익금을 받을 수 있게 개선.

개선 후에도 '최소 정산 기준액'이 여전히 존재 했습니다. 하지만 '최소 정산 기준액'이 최대 1,000원(KRW)으로 악보 최소 판매가격*을 고려해 보았을 때 악보가 한 건이라도 판매되었다면 아티스트가 수익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악보 최소 판매가격: 2달러(USD)

아티스트의 국가별로 계좌 정보 검사를 대체할 '정산 수단'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계좌 정보 확인에 대한 관리자의 업무를 부분적으로 자동화해 검사 시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가 정산받을 수 있는 국가를 확장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악보 최소 판매 가격*을 고려하여 한 건 이상이라도 판매되었을 때 수익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악보 최소 판매가격: 2달러(USD)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하시나요?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하시나요?

아티스트의 수익금 정산과 관련한 세 가지 문제를 아래와 같이 해결 및 개선하였습니다.

'정산 주기'의 제약 없이 아티스트가 판매 수익금을 언제든지 '즉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Before

: 매달 마지막 날짜에 한 달간의 판매 수익금이 확정된 후 30일이 지난 후에 받을 수 있다.


After

: 아티스트가 언제든지 '원터치'로 수익금을 즉시 받을 수 있다.

'최소 정산 금액'의 제약을 느끼지 않으며 수익금을 받을 수 있게 개선되었다.

Before

: 익월 판매 수익금이 30달러(USD)를 넘어야만 수익을 받을 수 있었다.


After

: 악보가 1건이라도 판매되었다면 기다림 없이 수익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최대 송금 수수료: 1,000원(KRW)

* 악보 최소 판매가격: 2달러(USD)

국가 제약 없이 아티스트가 판매 수익금 즉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Before

: 한국, 일본 그리고 미국과 같은 주요 국가의 아티스트만 판매 수익을 받을 수 있었다.


After

: 국가 제한 없이 88개 국가의 아티스트 모두가 수익금을 즉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우크라이나 아티스트의 문의로부터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회계 담당자의 공감과 도움으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아티스트 정산은 서비스의 오랜 관습의 영역이었던 만큼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구성원 모두가 끈기를 갖고 플랫폼의 '미션'과 아티스트의 '가치'를 되새기며 끝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아티스트의 수익금 정산과 관련한 3가지의 문제를 아래와 같이 해결 및 개선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아티스트의 문의로부터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회계 담당자의 공감과 도움으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아티스트 정산은 서비스의 오랜 관습의 영역이었던 만큼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구성원 모두가 끈기를 갖고 플랫폼의 '미션'과 아티스트의 '가치'를 되새기며 끝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